케이이에스 KC인증 http://www.kes.co.kr 케이이에스 KC인증 RSS Feed ko Sat, 26 Jul 2025 20:33:46 +0900 info@kes.co.kr 휴대폰 및 기지국의 전자파 세기는 어느 정도 인가요? http://www.kes.co.kr/insiter.php?design_file=1036.php&article_num=33 휴대폰 및 기지국의 전자파 세기는 어느 정도 인가요? 방송통신위원회에서는 2007년부터 매년 약 4,000개의 휴대폰 기지국에 대한 전자파 강도를 측정하고 있습니다. 측정 결과, 전체 무선국의 99%가 전자파인체보호기준의 1/10 미만으로 매우 미약하기 때문에 안심하셔도 될 것 같습니다. 또한 측정 결과는 누구나 쉽게 찾아 볼 수 있도록 인터넷에 공개(emf.kca.kr)를 하고 있으니.. 관리자 Tue, 16 Oct 2012 10:03:58 +0900 우리나라는 전자파로부터 인체를 보호하기 위해 어떻게 규제하고 있나요? http://www.kes.co.kr/insiter.php?design_file=1036.php&article_num=31 우리나라는 전자파로부터 인체를 보호하기 위해 어떻게 규제하고 있나요? 방송통신위원회에서는 2000년 12월에 전자파인체보호기준, 전자파강도 측정기준, 전자파흡수율 측정기준, 전자파강도 및 전자파흡수율 측정대상기기·측정방법 등 관련 고시를 제정하였습니다. 그리고 2002년 4월부터 휴대폰, PDA 등에 대한 전자파흡수율(SAR) 측정 의무화하여 전자파인체보호기준을 .. 관리자 Tue, 18 Sep 2012 12:00:47 +0900 전자파 인체영향에 대한 외국의 연구내용은 어떤가요? http://www.kes.co.kr/insiter.php?design_file=1036.php&article_num=30 전자파 인체영향에 대한 외국의 연구내용은 어떤가요? 세계보건기구(WHO)를 포함하여 미국·유럽 등 세계 각국에서 전자파의 인체 영향에 대한 연구 활동을 활발하게 수행하고 있습니다.미국은 1994년부터 5년간 “EMF RAPID” 프로그램을 수행하였습니다. 이 연구는 60 Hz 전원주파수의 전자파가 생체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 일반대중에게 연구 결과를 홍보한다는 목적으로.. 관리자 Mon, 10 Sep 2012 10:09:56 +0900 전자파 인체영향에 대한 국내의 연구내용은 어떤가요? http://www.kes.co.kr/insiter.php?design_file=1036.php&article_num=29 전자파 인체영향에 대한 국내의 연구내용은 어떤가요? 우리나라는 1996년부터 한국전자파학회(KIEES), 국립전파연구원(RRA),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및 주요 의학 연구기관 등과 협력하여 전자파의 인체영향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2000년부터 현재까지 전자파 인체노출량 평가기술 개발, 전자파 인체보호기준 및 평가 대상기기 확대 검토, 전자파 저감기술 연구 및 노출장.. 관리자 Tue, 28 Aug 2012 10:58:24 +0900 전자파 인체영향에 대한 정부의 대책은 무엇인가요? http://www.kes.co.kr/insiter.php?design_file=1036.php&article_num=28 전자파 인체영향에 대한 정부의 대책은 무엇인가요? 2011년 5월 31일, 휴대전화 전자파가 암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다는 세계보건기구(WHO)의 발표에 따라 국민적 불안감이 더욱 증대하여 정부에서도 인체보호 강화를 위해 현행 휴대폰에만 적용하고 있는 전자파 제한 규제를 인체에 근접 사용하는 무선기기(태블릿PC, 노트북 PC 등)로 확대 적용하고 있으며, 또한 소비자의 알권.. 관리자 Tue, 24 Jul 2012 15:56:18 +0900 숯, 선인장 등이 전자파를 차단하는 효과가 있나요? http://www.kes.co.kr/insiter.php?design_file=1036.php&article_num=27 숯, 선인장 등이 전자파를 차단하는 효과가 있나요? 방송통신위원회 국립전파연구원에서 시험한 결과, 숯, 선인장, 황토, 차단제품 등이 전자파를 줄이거나 차단하는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오히려 가전제품에 대한 전자파 안전거리를 준수하는 것이 전자파 노출을 줄이는데 도움이 됩니다. 관리자 Wed, 18 Jul 2012 10:50:50 +0900 휴대폰 전자파가 보청기, 심장박동기 등에 영향을 주나요? http://www.kes.co.kr/insiter.php?design_file=1036.php&article_num=26 휴대폰 전자파가 보청기, 심장박동기 등에 영향을 주나요? 병원에서 휴대폰 사용을 금지하는 이유는 휴대폰 전자파가 의료기기의 오작동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수술에 사용되는 장비처럼 생명에 직결되는 장비의 경우 혹시라도 장애를 일으킬 가능성을 없애기 위해 수술실 근처 등에서 휴대폰 사용을 금지하는 조치를 취할 필요가 있습니다. 관리자 Wed, 11 Jul 2012 15:50:11 +0900 전자파에 특별히 민감한 반응을 보이는 사람이 있나요? http://www.kes.co.kr/insiter.php?design_file=1036.php&article_num=25 전자파에 특별히 민감한 반응을 보이는 사람이 있나요? 일상생활에서 발생되는 전자파의 세기는 국제기구 및 정부에서 마련한 전자파 인체보호 기준치보다 훨씬 낮기 때문에 인체에 해로운 영향을 주지 않는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부 사람들은 피로, 스트레스, 수면 방해, 뜨거운 느낌, 소화 장애, 두통 등의 증상을 호소하고 있습니다.세계보건기구(WHO).. 관리자 Tue, 03 Jul 2012 15:49:28 +0900 어린이는 휴대폰 전자파에 더 민감한 가요? http://www.kes.co.kr/insiter.php?design_file=1036.php&article_num=24 일반적으로 어린이나 청소년은 신체적인 미성숙으로 인하여 어른보다 전자파에 대해 더 취약하고 민감할 수 있으며 WHO에서는 사전예방주의 차원에서 어린이의 휴대전화 사용 자제를 권고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휴대폰을 사용하는 어린이들이 증가하고 있는데 어린이는 성인에 비해 더 오랜 기간 동안 휴대폰 전자파에 노출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WHO에서는 어린이.. 관리자 Tue, 19 Jun 2012 10:47:36 +0900 휴대전화를 1분 및 1시간 사용한 경우 차이는 어떤가요? http://www.kes.co.kr/insiter.php?design_file=1036.php&article_num=22 휴대전화를 1분 및 1시간 사용한 경우 차이는 어떤가요? 일반적으로 일상에서 이용 중인 휴대폰의 출력은 매우 낮으므로 1분 혹은 1시간정도 이용하여도 인체에 유해하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장시간 지속적으로 이용하는 것은 자제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관리자 Tue, 19 Jun 2012 10:35:11 +0900 휴대폰, 기지국 전자파는 암이나 백혈병의 원인이 되나요? http://www.kes.co.kr/insiter.php?design_file=1036.php&article_num=23 휴대폰, 기지국 전자파는 암이나 백혈병의 원인이 되나요? 휴대폰이나 기지국에서 사용하는 전자파는 고주파이므로 인체에 열을 발생시킬 수 있습니다.  그들의 전자파 세기는 미약하여 거의 체온상승을 일으키지 않아 암, 백혈병 및 다른 질병(두통, 현기증, 기억력 감퇴 등)을 발병시키거나 촉진한다는 증거는 아직 없습니다.다만, 세계보건기구(WHO)에서는 2011년 5월.. 관리자 Fri, 15 Jun 2012 15:46:10 +0900 전자파는 인체에 해로운가요? http://www.kes.co.kr/insiter.php?design_file=1036.php&article_num=21 전자파는 인체에 해로운가요? 강한 세기의 전자파는 인체에 유해한 영향을 줄 수 있어 전자파인체보호기준이 마련되어 있으며 이를 만족하는 경우에는 안전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일상생활에서 발생하는 전자파는 미약하여 인체에 영향이 없다고 하지만 오랜 시간 동안 노출된다면 인체에 해로울 수 있어 미래의 잠재적인 위해 요인에 대해 사전주의 대책(precaution princip.. 관리자 Wed, 13 Jun 2012 10:34:11 +0900 전자파는 인체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가요? http://www.kes.co.kr/insiter.php?design_file=1036.php&article_num=20 전자파는 인체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가요? 전자파가 인체에 미칠 수 있는 영향은 크게 열작용과 비열작용 그리고 자극작용이 있습니다. 열작용은 주파수가 높고 강한 세기의 전자파에 인체가 노출되면 체온이 상승하여 세포나 조직의 기능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비열작용은 미약한 전자파에 장기간 노출되었을 때 발생하는 것으로서 현재까지 이러한  .. 관리자 Mon, 11 Jun 2012 09:32:12 +0900 일상생활에서 전자파는 어떻게 이용되나요? http://www.kes.co.kr/insiter.php?design_file=1036.php&article_num=19 일상생활에서 전자파는 어떻게 이용되나요? 전자파는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통신(휴대폰, 무선랜), 방송(라디오, TV, DMB), 가전제품(전자레인지, 인덕션히터), 교통(RFID, 네비게이션) 의료(MRI, X-ray, 적외선치료기) 등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이용되고 있습니다. 관리자 Fri, 08 Jun 2012 10:31:10 +0900 전자파는 어떻게 분류되나요? http://www.kes.co.kr/insiter.php?design_file=1036.php&article_num=18  전자파는 어떻게 분류되나요? 전자파는 주파수에 따라 여러 종류로 분류합니다.  주파수가 높은 순서대로 분류하면  감마선, X선, 자외선, 가시광선(빛), 적외선, 전파(초고주파, 고주파, 저주파)가 있습니다.  전파(Radio Wave)는 주파수가 3 THz (초당 3조번 진.. 관리자 Thu, 07 Jun 2012 10:29:55 +0900 전자파란 무엇인가요? http://www.kes.co.kr/insiter.php?design_file=1036.php&article_num=17 전자파란 무엇인가요? 원래 명칭은 전기자기파(電氣磁氣波, Electromagnetic Wave)로서 이것을 줄여서 전자파라고 합니다. 전자파는 전기장과 자기장의 두 가지 성분으로 구성된 파동으로서 서로 반복하며 대기 중에서 빛의 속도로 퍼져나갑니다. 관리자 Mon, 04 Jun 2012 10:28:08 +0900 국내에서 인증을 받아 표시하는 인증마크는 모두 KC마크로 변경하여야 하는가? http://www.kes.co.kr/insiter.php?design_file=1036.php&article_num=16 국내에서 인증을 받아 표시하는 인증마크는 모두 KC마크로 변경하여야 하는가? - KC마크는 법적으로 반드시 인증을 받도록 규정하여 마크를 붙여야만 판매가 가능한 법정강제인증을 받은 제품에 표시하는 마크를 하나로 통합하는 것이므로 모든 인증마크를 KC마크로 바꾸는 것은 아닙니다.  - 국내에서 인증하는 제도는 법정강제인증, 법정임의인증, 그리고 법적 근.. 관리자 Thu, 31 May 2012 10:27:16 +0900 해외에서도 통합인증마크를 사용하나요? http://www.kes.co.kr/insiter.php?design_file=1036.php&article_num=15 해외에서도 통합인증마크를 사용하나요? PS(일본) : ‘03년부터 전기제품·공산품 등에 대해   PS마크(제품안전마크)로 단일화하여 사용하고 있습니다.  CE(EU) : ‘93년부터 EU 회원국간 무역의 편리성을 위해 안전·환경 및 소비자 보호와 관련된 강제 인증을 CE로 통합해 사용하고 있습니다.  CCC(중국) : WTO 가입 이후 국내 제품과 수입 제품에 달리 적용.. 관리자 Tue, 29 May 2012 10:26:26 +0900 국가통합인증마크가 도입되면 어떤 점이 좋아지나요? http://www.kes.co.kr/insiter.php?design_file=1036.php&article_num=14 국가통합인증마크가 도입되면 어떤 점이 좋아지나요? 소비자에게는 - 중복된 인증마크 사용으로 생기는 혼란이 줄어듭니다. - 하나의 인증마크만을 확인하여 좋은 제품을 고를 수 있게 됩니다. 기업에게는 - One Stop 인증시스템 구축으로 중복 인증에 따른 기업의 경제적 부담과 인증 소요기간이 단축됩니다. ※ 인증비용 65.8%절감, 소요 기간은 26.7% 단축 정부에게는 .. 관리자 Mon, 28 May 2012 10:25:07 +0900 국가통합인증마크가 왜 필요한가요? http://www.kes.co.kr/insiter.php?design_file=1036.php&article_num=13 국가통합인증마크가 왜 필요한가요? 우리나라에서 인증제도가 중복되어 사용되다보니, 국내적으로는 기업입장에서 시간과 비용이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국가간 거래에 있어서는 상호 인증이 되지 않아 재인증을 받아야 하는 등 국제 신뢰도 저하 및 국부 유출의 문제를 가져왔습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국가통합인증마크가 도입되었습니다. 관리자 Thu, 24 May 2012 15:22:02 +0900 KC마크[ Korea Certification mark ] http://www.kes.co.kr/insiter.php?design_file=1036.php&article_num=12 KC마크[ Korea Certification mark ] 란?지식경제부ㆍ노동부ㆍ환경부ㆍ방송통신위원회ㆍ소방방재청 등 5개 부처에서 각각 부여하던 13개 법정인증마크를 통합해 2009년 7월 1일부터 단일화한 국가통합인증마크다. 각 부처별 인증기관이 다른 번거로움을 없애고 국제신뢰도 증진을 위해 이전까지 사용되던 안전ㆍ보건ㆍ환경ㆍ품질 등의 법정강제인증제도를 단일화한 것이다. 공산.. 관리자 Mon, 21 May 2012 09:21:09 +0900 KC마크로 통합되는 법정의무인증마크 http://www.kes.co.kr/insiter.php?design_file=1036.php&article_num=11 마크 인증제도명 / 주관부처 분야 관계법령 인증기관 전기용품안전인증 (지식경제부 기술표준원) 전선, 전원코드, 청소기, TV 등 전기용품안전관리법 한국산업기술시험원(http://www.ktl.re.kr)한국기계전기전자시험연구원,(http://www.keti.or.kr)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http://www.ktr.or.kr) 공산품 안전인증마크 (지식경제부 기술표준원) 유모차, 압력솥 ,.. 관리자 Fri, 18 May 2012 10:19:30 +0900 KC 국가통합인증마크 http://www.kes.co.kr/insiter.php?design_file=1036.php&article_num=8 KC마크(KC: Korea Certification)는 K와 C를 하나의 라인으로 연결함으로서 국제적 통합을 강조하고 워드타입을 심볼형태로 형상화하여 인증마크로서의 시각적 속성을 표현하고 있다. KC마크(KC: Korea Certification)는 K와 C를 하나의 라인으로 연결함으로서 국제적 통합을 강조하고 워드타입을 심볼형태로 형상화하여 인증마크로서의 시각.. 관리자 Thu, 17 May 2012 14:31:35 +0900 국가통합인증마크(KC)의 필요성 http://www.kes.co.kr/insiter.php?design_file=1036.php&article_num=7 현재 우리나라에서 운영되는 인증제도는 법정인증과 민간인증을 모두 포함해 총 184개가 있습니다. ‘제품 안전’이라는 똑같은 목적이더라도, 부처마다 인증마크가 달라 중복해서 인증받아야하는 불편함이 있었습니다. 그러다 보니 시간과 비용이 낭비되는 것은 물론이고, 국가간 거래에 있어 상호 인증이 되지 않아 재 인증을 받아야 하는 등 국제 신뢰도 저하와 국부 유출.. 관리자 Mon, 14 May 2012 14:26:14 +0900 사후관리 http://www.kes.co.kr/insiter.php?design_file=1036.php&article_num=6 적합성평가를 받은 기자재가 적합성평가 기준대로 제조·수입 또는 판매되고 있는지를 관련공무원이 조사 또는 시험을 통하여 필요한 행정처분 하는 것을 말합니다.                                          <방송통신기자.. 관리자 Thu, 10 May 2012 14:23:08 +0900 정책 추진 내용 http://www.kes.co.kr/insiter.php?design_file=1036.php&article_num=10 부처별 다양한 인증제도가 소비자의 혼란과 기업의 부담 가중 - 법정의무인증제도 43개, 법정임의인증제도 69개, 민간인증제도 72개 등 184개의 인증제도 운용 중 → 국회, 언론 등에서 표준·인증제도개선 필요성을 지속적 제기→ 기업하기 좋은 환경조성을 위한 표준·인증제도 개선 추진 구분 내용 법정인증 의무인증 필수적인 안전·품질·환경.. 관리자 Wed, 09 May 2012 10:11:27 +0900 국가통합인증마크 표시기준 http://www.kes.co.kr/insiter.php?design_file=1036.php&article_num=9 국가통합인증마크 기본모형의 도안방법과 색상 국가통합인증마크의 도형 크기는 제시된 그리드에 의해 재생할 수 있으며 적용상품의 크기에 따라 조정할 수 있으나 인증마크의 세로높이를 5mm 미만으로 사용 할 수 없다. 다만, 저장장치 등의 극소형 제품 또는 검정증인(압인·타인·각인 등)을 사용하는 것은 적용상품의 크기에 따라 인증마크의 세.. 관리자 Tue, 08 May 2012 15:07:56 +0900 인증변경 및 해지 http://www.kes.co.kr/insiter.php?design_file=1036.php&article_num=5 인증변경 및 해지   인증받은 자 또는 기자재의 신청자의 주소나 대표자의 성명 등 기술기준과 관련 없는 사항이나 기기의 외관, 내부의 회로, 부품 등 기술기준과 직접 관련이 있는 사항이 변경되는 경우 반드시 국립전파연구원에 변경신고를 하여야 합니다. 이기술기준과 관련이 있는 변경의 경우 국립전파연구원이나 지정시험기관으로부터 시험성적서를 .. 관리자 Mon, 07 May 2012 14:18:17 +0900 KC 인증 제도 표시방법 http://www.kes.co.kr/insiter.php?design_file=1036.php&article_num=4 KC 인증 제도 표시방법  방송통신기자재등의 적합성평가 표시기준 및 방법(제23조 관련)     적합성평가 표시는 제1호와 같이 기본도안과 식별부호 및 적합성평가를 받은 자의 상호, 기자재의 명칭(모델명), 제조연월, 제조자 및 제조국가에 대한 정보를 표시한다. 적합성평가표시는 해당 기자재의 표면과 포장에 알아보기 쉽도록 인쇄하거나 각인하.. 관리자 Thu, 03 May 2012 14:15:55 +0900 인증이 면제되는 기자재 http://www.kes.co.kr/insiter.php?design_file=1036.php&article_num=3 면제대상 기자재  •제품 및 방송통신서비스의 시험·연구 또는 기술개발을 위한 목적의 기자재 : 수량 100대 이하   •판매를 목적으로 하지 않고 전시회, 국제경기대회 진행 등 행사에 사용하기 위한 기자재 : 면제확인 수량  •외국의 기술자가 국내산업체 등의 필요에 따라 일정기간 내에 반출하는 조건으로 반입하는 기자재  •적합성평가를 받은 기.. 관리자 Mon, 23 Apr 2012 09:14:39 +0900 인증 분야별 구비서류 http://www.kes.co.kr/insiter.php?design_file=1036.php&article_num=2 *적합인증 -구비서류 • 사용자설명서 • 시험성적서(지정시험기관 또는 MRA체결국 시험기관 발행) • 외관도 • 부품배치도 또는 사진 • 회로도 • 대리인지정서 -대상기자재의 예 무선전화경보자동수신기, 선박 국용레이다, 전화기, 모뎀 등 -관련법령 전파법제58조의2 및 적합성평가에 관한 고시 제3조제1항, 별표1의 기자재 *적합등록 -구비서류 • 적합성평가기군에 부.. 관리자 Tue, 10 Apr 2012 16:13:24 +0900 방송통신기자재 적합성평가 제도 http://www.kes.co.kr/insiter.php?design_file=1036.php&article_num=1 적합성평가표시 도안 방송통신기자재 적합성평가 제도 방송통신기자재등의 적합성평가 제도는 전파법 제58조의2에 근거하여 시행하고 있으며 적합인증, 적합등록, 잠정인증의 3가지 인증으로 구분합니다. 방송통신기자재를 제조 또는 판매하거나 수입하려는 자는 해당 기자재에 해당하는 적합인증, 적합등록 또는 잠정인증 중 하나의 인증을 받아야 합니다. 관리자 Fri, 30 Mar 2012 14:12:29 +0900